『학교는 아이들의 개성을 사회적으로 거세하는 임무를
위하여 세상에 태어났다.
관습이나 기호는 법이나 제도로서 억압적으로 굳어진 경우도 있지만
그런것들로부터 인간이 놓여날 수 있게되면 그는 자신이 원하는대로
스스로의 삶을 창조할 수 있다.』
------------------------------------------------------------------------------
『물이 맑으면 갓끈을 빨고,
물이 흐리면 발을 씻는다.
맑고 흐린 세상풍파를 다 받아들이는거야』
-------------------------------------------------------------------------------
『세월이 좀 지체되겠지만 확실하게
내 인생을 살아보고 싶은거다.
학업을 때려치우면 나중에 해먹구 살일이 뭐가
있겠어?
어째튼 먹구살일이 목표겠구나. 헌데 어른이나
애들이나 왜들 그렇게 먹구사는 일을 무서워하는거야?
나는 궤도에서 이탈한 소행성이야. 흘러가면서 내 길을 만들거야.』
---------------------------------------------------------------------------------
『헤어지며 다음을 약속해도
다시 만났을 때는 이미 그때의 자기가 아니다.
이제 출발하고 작별하는 자는 누구나 지금까지 왔던 길과는 다른 길을 갈 것이다. 』
'詩와 冊과 版畵 그리고... > 冊想'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핍한 날의 벗 (0) | 2014.09.21 |
---|---|
수도원 기행 (0) | 2014.09.15 |
낙타는 왜 사막으로 갔을까? (0) | 2011.09.06 |
걸리버 여행기-조나단 스위프트 (0) | 2010.10.01 |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 가지 힘 (0) | 2010.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