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6

화.

화는 습관이다. 습관은 쉽고 편안하면 나온다. 제일 만만하고 편하고 화를 내도 내 삶에 큰 지장이 없다고 생각되는 대상으로 제일 많이 화를 낸다. 화를 습관적으로 내는 사람의 특징은 이미 답을 정해 놓고 남의 허물-그게 과거의 것이든 사적(私的)이든 가리지 않고-을 쉽게 이야기하고 남을 자기의 기대에 맞추어 바꾸려 한다는 것이다. 즉 자기 욕심의 표현이지 남을 위한 조언이 아니라는 것이다. 화를 내느냐 안내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쉽고 편안한 관계라 하더라도 화는 매너있게 내야한다. 그러므로 가깝고 편안한 사람에게 화를 내는 것을 먼저 돌아봐야 한다. / 충주건지마을 일몰 직선으로 흐르는 강은 없다.

백과사전/短想 2024.07.14

안달복달

자신이 욕심이 많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남들이 보는 것과는 달리.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안달복달" [안달복딸, 몹시 속을 태우며 조급하게 볶아치는 일] 하는 것을 남들은 욕심이라고 생각하지만 자신은 자기가 "안달복달"한다는 자체를 의식하지 못하거나, 자기는 그걸 자신만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짠음식을 싫어하는 사람은 있어도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고 한다. 짠음식을 잘 먹는 사람은 짠음식이 좋아서 먹는게 아니라 짜다는 사실을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고 그냥 맛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욕심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생각한다. 욕심을 부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서가 아니라 욕심을 부린다는 생각 자체를 못하는 것이 아닐런지... 그러고 보면 욕심이라는 것도 공감능력, 배려심 부족에서 나오는 게 ..

백과사전/短想 2024.05.05

이상적인 토론

이상적인 토론이라면, 1. 문제에 관련된 사람들이 모두 논의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하고 2. 참여자의 모든 의견이 자유롭게 제시될 수 있어야 하며 3. 논의과정에서 의견의 설득력 외에는 어떤 힘이나 권력이 작용해서는 안 되고 4.1. 토론에서 이루어진 합의는 구속력을 가질 수 있어야 하며 4.2. 반대로 합의가 되지 않았다면 의견차이가 존중되어야 한다. / 나의 작은 철학, 장춘익 현실에서는 3.논의과정에서 어떤 힘이나 권력이 작용하며 4.2 토론?과정에서 다른 의견은 어떤 힘이나 권력으로부터 비난을 받는 게 현실이다. 그러다보니 2. 모든 의견이 자유롭게 제시되지 않으며 1. 문제에 관련된 사람들이 토론에 참여하기를 꺼려한다.

백과사전/短想 2024.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