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농장-조지오웰/도정일 등장하는 인간? 동물? 존스 : 농장주 메이저(돼지) : 늙은 수퇘지, 인간에 대한 반감으로 존스 퇴출을 선동함 나폴레옹(돼지) : 젊은 수퇘지, 인간을 퇴출한 후 정권잡음. 경쟁자 스노볼 역시 퇴출함 인간과 유사한 폭정을 행사함 스노볼(돼지) : 젊은 수퇘지, 쾌활함. 나폴레옹과 같은 뜻이.. 詩와 冊과 版畵 그리고.../冊想 2020.01.08
불씨 - 도몬 후유지 250여년 전 파탄직전의 에도막부를 살려낸 한 지도자의 실화소설 250여 년 전 파탄지경의 요네자와 지방. 열일곱 살의 젊은 지도자가 얼어붙은 '재의 나라"에 개혁의 불씨를 지핀다. 그 앞에 놓인수 많은 벽, 권위, 부패, 타성, 개혁불감증... 요잔의 신념 앞에 벽은 하나둘 무너지고 작은 불.. 詩와 冊과 版畵 그리고.../冊想 2020.01.05
스마트한 생각들 - 롤프 도벨리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52가지 심리법칙. 내 마음을 내 의지대로 움직이지 못하고 심리법칙에 따라 움직인다고 한다. 내가 생각하는 이성과 합리보다는 익숙하고 선호하는 방향으로 잘못 들어가는 오류에 빠진다고 한다. 그러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에 대한 해답은 없다. 그냥 속고 살.. 詩와 冊과 版畵 그리고.../冊想 2020.01.04
삼국지 (한권으로 끝내는...로하스) 위, 촉, 오 세나라로 갈라져 끊임없이 다투던 거대한 대륙 중국은 마침내 진제 사마염에 의하여 통일되었으니, 천하대세는 합해진 지 오래 되면 나뉘어지고, 나뉜지 오래 되면 반드시 합해지게 되는 것인가 보다. 966쪽 그 시대의 큰 별들(유비, 조조, 손권, 공명 등)은 통일된 대륙을 보지 .. 詩와 冊과 版畵 그리고.../冊想 2020.01.04
자기 인생의 철학자들 - 김지수 우리들은 개별적인 삶을 살며, 개별적인 철학을 가지고 있다. 삶과 철학은 옳고 그름의 영역이 아니다. 다만 다름의 문제일 뿐이다. 평균 나이 72세 어르신들의 말. 개별적이지만 보편적이다. "난 공부는 못해도 숙제는 해 갔어요" - 배우 윤여정 "살아 보니 인생이 별게 아니야. 재밌게 사.. 詩와 冊과 版畵 그리고.../冊想 2019.12.26
사기열전 - 서해클래식 "사람을 얻으면 모두 얻는 것이다" 사기열전은 방대한 책이다. 요약하거나 간추리거나 요점만 정리할 수 없는 책이다. 그러나 책의 어디를 펴서 읽더라도 사람에 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고전이다. 사기열전은 하나같이 "사람"에 관하여 쓰여져 있기 때문이다. ♥ 노자, 장자, 신.. 詩와 冊과 版畵 그리고.../冊想 2019.11.21
김훈, 라면을 끓이며... 2019.10.13 그 어선들의 반토막 태극기는 살아가는 일의 수고로움과 수고의 경건함을 보여주었다. 남루는 그 경건함이 드러나는 방식이며 외양이었다. 반 토막 태극기는 맹렬하게 펄럭였다. 아름다운 태극기였다. 권세 높은 관청 지붕 에 높이 솟은 태극기보다 이 닳아빠진 반쪽짜리 태극기.. 詩와 冊과 版畵 그리고.../冊想 2019.10.27
논어 제1편 학이편 1. 이미 배운 것을 때때로 복습하여 깨우치면 역시 기쁜 일이 아니겠느냐? 함께 공부하던 글 동무들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역시 즐거운 일이 아니겠느냐?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움을 품지 않으면, 역시 군자다운 사람이 아니겠느냐? 16. 남이 나를 몰라준다고 걱정말.. 詩와 冊과 版畵 그리고.../冊想 2019.08.20
나을 지켜낸다는 것_팡차오이 修身 vs 守身 제목과는 다르게 책의 내용은 수신(修身)이다. 즉, 나를 닦는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수신(修身)이면 수신(守身)이 된다는 것이다. 저자는 수신의 방법으로 고전에 나오는 9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1. 수정 : 고요히 앉아 마음을 들여다 보는 힘 "고요한 뒤에야 능히 안정되며, 안.. 詩와 冊과 版畵 그리고.../冊想 2019.08.11
난중일기 난중일기(오래된 책방 07) 임진년 아침이 밝아오다 역자 : 송찬섭 난중일기에 나오는 해전은 박진감이 없다.해전에 대한 내용이 자세하여 기술되어 있지도 않다.난중일기는 장군 이순신보다 인간 이순신을 보여주는 일기이다. 부모의 자식으로써 어머니,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 아버지로.. 詩와 冊과 版畵 그리고.../冊想 2019.08.11